본문 바로가기

CS/Network

[정보처리산업기사] 1. 인터넷

1. 인터넷

- 인터넷이란 TCP/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전 세계 수많은 컴퓨터와 네트워크들이 연결된 광범위한 컴퓨터 통신망입니다.

2. IP 주소

- IP주소는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 자원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한 주소입니다.

- 숫자로 8비트씩 4등분, 총 32비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(IPv4)

- 네트워크의 길에 따라 A클래스 ~ E클래스까지 총 5단계로 구성되어있습니다.

출처: https://bamdule.tistory.com/193


3. 서브네팅

- 할당된 네트워크 주소를 다시 여러 개의 작은 네트워크로 나누어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.

- 서브넷 마스크 :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하기 위한 비트

4. IPv6

-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.
     => 128비트의 긴 주소를 사용하여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

- IPv4에 비해 자료 전송 속도가 빠릅니다.

- 인증성, 기밀성, 데이터 무결성의 지원으로 보안 문제 해결 가능합니다.
     ① 인증성 : 사용자의 식별과 접근 권한 검증
     ② 기밀성 : 시스템 내의 정보와 자료는 인가된 사용자에게만 접근 허용
     ③ 무결성 : 시스템 내의 정보는 인가된 사용자만 수정 가능

- 주소의 확장성, 융통성, 연동성이 뛰어납니다.

- 실시간 흐름 제어로 향상된 멀티미디어 기능을 지원합니다.

- 패킷 크기를 확장할 수 있으므로 패킷 크기에 제한이 없습니다.

- 기본 헤더 뒤에 확장 헤더을 더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정보의 저장이 가능해집니다.
     => 네트워크 기능 확장이 용이함.

- IPv4와 호환성이 뛰어납니다.

※ 헤더: 패킷 전송 시 제일 앞에 배치되는 영역입니다. (IP 주소의 버전, 인증 정보, 패킷 정보, 주소지 정보 등을 포함)

5. IPv6의 구성

- 16비트씩 8부분, 총 128비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
- 각 부분을 16진수로 표현하여, 콜론(:)으로 구분합니다.

- IPv6는 유니캐스트, 멀티캐스트, 애니캐스트 주소 체계를 가지고 있다.
     ① 유니캐스트 : 1:1 통신
     ② 멀티캐스트 : 1:N 통신
     ③ 애니캐스트 : 1:1 통신 => 유니캐스트와 다르게, 송신자와 가장 가까이 있는 수신자 간의 통신

6. 도메인 네임(Domain Name)

- 숫자로 된 IP주소를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문자 형태로 표현한 것입니다.
           ex) http://210.89.164.90/(IP주소) -> www.naver.com (도메인 네임)

-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상위 도메인을 의미합니다.

-  DNS(Domain Name System) : 도메인 이름 → IP 주소 (변환해주는 역할)

- DNS 서버 : 도메인 이름을 해당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하는 시스템 서버

 

[ 출처 ]
https://velog.io/@donghoim/%EC%A0%95%EB%B3%B4%EC%B2%98%EB%A6%AC%EC%82%B0%EC%97%85%EA%B8%B0%EC%82%AC-5%EA%B0%95-%EC%9D%B8%ED%84%B0%EB%84%B7#3-%EC%84%9C%EB%B8%8C%EB%84%A4%ED%8C%85subnetting

'CS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정보처리산업기사] 4. TCP/IP  (0) 2023.07.01
[정보처리산업기사] 3. 프로토콜  (0) 2023.07.01
[정보처리산업기사] 2. OSI 참조 모델  (0) 2023.07.0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