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CS

(8)
[정보처리산업기사] 4. TCP/IP 1. TCP / IP - 인터넷에 연결된 서로 다른 기종의 컴퓨터들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표준 프로토콜 입니다. - TCP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) [전송 계층]과 IP(Internet Protocol) [네트워크 계층]이 결합한 단어입니다. 2. TCP / IP의 구조 3. 응용 계층의 주요 프로토콜 - FTP(File Transfer Protocol) : 원격 파일 전송 프로토콜 [ 포트번호: 21 ] - SMTP(Simple Mail Transfer Protocol) : 전자 우편 교환 서비스 - TELNET ① 원격 접속 서비스 ② 가상 터미널 기능 수행 - SNMP(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) ① TCP/IP의 관리..
[정보처리산업기사] 3. 프로토콜 1. 프로토콜의 정의 - 서로 다른 기기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표준화시켜 놓은 통신 규약 2. 프로토콜의 기본 요소 - 구문(Syntax):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형식, 부호화, 신호 레벨 등을 규정 - 의미(Semantics): 두 기기 간의 효율적이고 정확한 정보 전송을 위한 협조 사항과 오류 관리를 위한 제어 정보를 규정 - 시간(Timing): 두 기기 간의 통신 속도, 메시지의 순서 제어 등을 규정 3. 프로토콜의 특징 (1) 단편화 : 전송이 가능한 작은 블록으로 나누어지는 기법 (2) 재조립 : 단편화되어 온 조각들을 원래 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법 (3) 캡슐화 : 상위 계층의 데이터에 각종 정보를 추가하여 하위 계층으로 보내는 기법 (4) 연결 제어 : 데이터의..
[정보처리산업기사] 2. OSI 참조 모델 1. OSI (Open System Interconnection) 참조 모델 - 다른 시스템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ISO(국제표준화기구)에서 제안한 통신 규약입니다. 2. OSI 7계층 (1) 물리 계층 - 주로 전기적, 기계적, 기능적인 특성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규칙을 정의합니다. - 주요 기능: 0과 1의 비트 정보를 회선에 보내기 위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합니다. (On, Off 상태) - 전송 단위 : 비트(Bit) - 관련 장비 ① 허브 : 여러 컴퓨터나 네트워크 장치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장치 ② 리피터 : 네트워크 신호를 증폭하는 장치 (2) 데이터링크 계층 - 두 개의 인접 시스템 간의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계층입니다. - 주요..
[정보처리산업기사] 1. 인터넷 1. 인터넷 - 인터넷이란 TCP/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전 세계 수많은 컴퓨터와 네트워크들이 연결된 광범위한 컴퓨터 통신망입니다. 2. IP 주소 - IP주소는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 자원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한 주소입니다. - 숫자로 8비트씩 4등분, 총 32비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(IPv4) - 네트워크의 길에 따라 A클래스 ~ E클래스까지 총 5단계로 구성되어있습니다. 3. 서브네팅 - 할당된 네트워크 주소를 다시 여러 개의 작은 네트워크로 나누어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. - 서브넷 마스크 :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하기 위한 비트 4. IPv6 -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. => 128비트의 긴 주소를 사용하여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 -..
[정보처리산업기사] 4. 스케줄링 1) 스케줄링 (1) 스케줄링의 개요 => 프로세스가 생성되어 실행될 때, 필요한 시스템의 여러 자원을 해당 프로세스에게 할당하는 작업 (2) 스케줄링의 목적 => 대기 시간은 최소화하고 처리는 공평하게 하는 것 (3) 스케줄링의 종류 => 프로세스가 실행되어 완료될 때까지 프로세스는 여러 종류의 스케줄링 과정을 거침 ① 선점 스케줄링 ② 비선점 스케줄링 2) 선점 스케줄링 => 하나의 프로세스가 CPU를 차지하고 있을 때, 우선순위가 높은 다른 프로세스가 현재 프로세스를 중단시키고, 강제로 CPU를 점유하는 스케줄링 방식 [장점] : 비교적 응답이 빠름 [단점] : 처리 시간을 예측하기 힘듦, 높은 우선순위 프로세스들이 계속 들어오는 경우 오버헤드 초래 (1) RR (Round Robin) - 시분할 ..
[정보처리산업기사] 3. 운영체제의 기본 명령어 1) Windows 기본 명령어 (1) CLI(Command Line Interface) - 명령 프롬포트(Command) 창에 명령어를 입력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 DIR : 현재 디렉터리의 파일 목록을 표시함 COPY : 파일을 복사함 DEL : 파일을 삭제함 TYPE : 파일의 내용을 표시함 REN : 파일의 이름을 변경함 MD : 디렉터리를 생성함 CD : 동일한 드라이브에서 디렉터리의 위치를 변경함 CLS : 화면의 내용을 지움 ATTRIB : 파일의 속성을 변경함 FIND : 파일에서 문자열을 찾음 CHKDSK : 디스크 상태를 점검함 FORMAT : 디스크 포면을 트랙과 섹터로 나누어 초기화함 MOVE : 파일을 이동함 (2) GUI(Graphic User Interface) - 마우스로 ..
[정보처리산업기사] 2. 운영체제의 종류 1) Windows (1) GUI 제공 : 그래픽 기반의 인터페이스 방식 제공 (2) 선점형 멀티태스킹 : 동시에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실행(멀티태스킹)하면서 운영체제가 각 작업의 CPU 이용 시간을 제어 (3) PnP (자동 감지 기능) : 하드웨어 설치했을 때, 운영체제가 자동으로 필요한 시스템 환경을 자동감지하는 기능을 제공 (4) OLE : 문서에 개체(문자, 그림 등)를 연결 또는 삽입하여 편집할 수 있는 기능 제공 2) 유닉스(Unix) (1) AT&T 벨(Bell) 연구소를 통해 만든 운영체제 (2) 시분할 시스템을 위해 설계된 "대화식 운영체제" (3) 다중 작업(Multi-Tasking) 제공 (4) 다중 사용자(Multi-User) 제공 (5) 이식성 제공 : C언어로 90% 이상 구현..
[정보처리산업기사] 1. 운영체제의 개념 1. 운영체제 1) 운영체제(Operating System) 이란? (1) 하드웨어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관리 및 운영하는 소프트웨어 (2) 컴퓨터 시스템과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담당. 2) 운영체제의 목적 (1) 처리 능력 향상 : 일정 시간 내에 시스템이 처리하는 일의 양 (2) 사용 가능도 향상 : 시스템이 필요할 때, 즉시 사용 가능한 정도 (3) 신뢰도 향상 : 시스템이 주어진 문제를 정확하게 해결하는 정도※ (4) 반환 시간 단축 : 처리 완료까지 걸리는 시간 3) 운영체제의 특징 (1)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편리한 인터페이스 제공 (2) 스케줄링 담당 :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자원의 스케줄링 기능을 제공함 (3) 자원 관리 : 프로세스, 기억장치, 입 · 출력 장치..